커서 [372989] · MS 2011 · 쪽지

2017-06-09 19:09:47
조회수 10,359

★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 지구과학1 분석 by 커서 (part 1)

게시글 주소: https://spica.orbi.kr/00012233461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 지구과학1 분석 by 커서 (part 1)


총평 : 작년 9평부터 대대적으로 바뀐 평가원의 그림 제시 방식이나 말투가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기존의 기출문제에 익숙해져 있던 학생이라면 안정적으로 50점 맞기 힘든 시험이었습니다.

정말 지엽이라고 저 자신도 인정할 만한 선지들이 몇 개 있었고,

그렇기에 이제는 교과서를 최소한 한 번 읽고 공부하는 게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것 같습니다.

천체는 개념에 기반한, 변별이나 트릭 없는 쉬운 기조가 유지되었기에

학생들은 해류나 대기순환 파트를 좀더 정밀하게 공부하는 것이 수능에서의 고득점으로 이어질 것 같다는 예측입니다.  


그럼 한 문제씩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1번 - 


산사태의 예방대책 문제가 1번으로 나왔네요.

ㄱ과 ㄴ은 교과서와 EBS에 모두 수록된 아주 기초적인 개념이니 1초만에 패스.

ㄷ은 좀 낯설 겁니다. 하지만 잘 읽어 보죠.

고무를 끼우면 진동에 의한 송유관의 파손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뭐 그렇겠죠? 틀릴 리가 없습니다.

이런 선지가 나오면 누누이 말씀드렸듯이, 처음 봐도 그냥 당연히 동그라미 치고 넘기면 됩니다.

평가원은 이 선지를 학생들이 아마 낯설어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고, 그렇기에 낸 거고, 절대 여기서 트릭을 쓰지 않습니다.

당연한 거 아니냐 근데 왜 그렇게 강조하냐구요? 재작년 4번 BOD 사태를 생각해 보세요! 많은 수험생들이 이 사실을 간과합니다.


지1 평가원 문제에는 흐름과 스케일이 있습니다. 아주 커다란 흐름으로 넓게넓게 흘러가는 첫 페이지 같은 경우에,

평가원은 절대 그 흐름에 어색하게 섬세한 트릭을 넣거나 숨겨두지 않습니다.

문제를 직관적으로 바라보고,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수능 고득점의 비결입니다. 이를 확인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갑시다.



- 2번 -


작년 수능 1번 문제에서 (가)의 그림만 바꾼 문제입니다. 아주 쉽고 볼 것도 없으니 넘어가죠.



- 3번 -


이것도 영양가없는 문제입니다. 넘어갑시다!



- 4번 -


안식각 실험을 창의적으로 내기 귀찮았나 봅니다. 작년 6평과 마찬가지로 실험 주제에 빈칸을 뚫어 놨군요.

개인적으로 수능에서는 안식각이 창의적인 실험으로 2~3페이지에 등장하길 기대하고 있는데, 아마 그럴 확률은 거의 없을 겁니다.

요즘 평가원의 추세는 환경변화, 특히 입자간 공극과 환경오염에 대한 지질학적 논문을 차용해서 구체적인 실험을 만들고 분석하는 문제를 내기를 좋아하니까요. 뭐 어찌 됐건 두 부류의 문제 모두 '잘 읽으면 푸는 문제'이니 걱정할 것은 없습니다. 넘어가도록 하죠.



- 5번 -


개인적으로 별로 안 좋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태양계 구성원 단원, 순서도 문제라는 포맷을 정해 놓고 창의적으로 낼 게 없으니 명왕성을 가져다 쓴 거 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오거든요.

게다가 20번 문제 또한 태양계 구성원을 짬뽕시킨 문제인데 1페이지에 중복해서 낸 건 퀄리티를 명백히 떨어뜨리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문제 자체는 영양가가 없으니 넘어가도록 하죠.



- 6번 -


문제와 그림을 이해하기가 조금 난해합니다. 이것도 상당히 불만족스러운 문제인데요

문제 자체는 3초면 풀립니다. 하지만 이렇게 애매하게 낼 거면 차라리 아주 뻔한 교과서 그림을 내고말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작년 수능 생명가능지대 도표 문제는 상당히 고퀄이었다 생각하는데 이 문제는 솔직히 대충 낸 것 같습니다.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7번 -


(가)는 토양층상구조 문제에서만 나오던 그림, (나)는 물리/화학적 풍화 문제에서만 나오던 그림인데 짬뽕했습니다.

선지도 ㄱ은 전자의 전형적 선지, ㄴ은 후자의 전형적 선지입니다.

ㄷ은 화학적 풍화의 정도와 심토의 두께를 기후라는 한 가지 개념으로 엮어 깔끔하게 잘 출제했네요. 그림이나 수식을 조금만 더 낯설게 냈더라면 충분히 3점으로까지 만들 수 있을 것 같은 문제였습니다.


요즘의 평가원 추세는 '전형적인 문제를 탈피하기 위해 같은 단원의 서로 다른 소단원을 섞어 내는' 추세입니다. 이 문제가 그 추세의 첫 주자라고 할 수 있겠죠?

다음 문제로 넘어가겠습니다.



- 8번 -


이 문제는 2014 수능의 수자원 문제와 동일합니다. 하지만 다른 점은 (나)를 좀 암기해 놓는다면 풀이가 더 깔끔하고 쉬울 거라는 점이지요.

ㄱ과 ㄴ은 (나)의 표를 암기해 놓았다면 아주 쉽게 풀 수 있는 문제고, 암기하지 않았더라도 긴가민가하면서 충분히 맞는 문제입니다.

ㄷ은 그냥 계산하라는 겁니다. 지엽이 아니에요.

넘어갑시다.



- 9번 -


ㄱ과 ㄷ은 2초 안에 푸실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ㄴ이 지엽이라 생각하시는 분이 간혹 있을 것 같은데, 연흔의 생김새가 뭔지 대충 아신다면 그냥 그 그림과 (나)를 비교해 보고

비슷하다 싶으면 동그라미 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다행히도 교과서나 EBS에 나오는 연흔과 아주 똑같이 생겼네요.

넘어갑시다.



- 10번 -


,개인적으로 ㄱ이 '구경이 크면 집광력이 크다'만을 암기하던 학생들을 저격하기 위한 아주 좋은 선지였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평가원답게 잘 낸 선지라 생각해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구경과 집광력의 제곱비례 관계는 엄밀히 말하면 지엽은 아닙니다. 필수로 외워야 하는 것이고, 다만 평가원에서는 '3.5/0.85 배이다'나 '제곱에 비례한다' 같은 정량적 척도보다는 '크다' '작다' 같은 정성적 척도를 이용하길 좋아하기에 내지 않았던 것뿐이죠.

하지만 작년 9평을 기준으로 평가원은 바뀌었습니다. 이젠 이런 개념도 선지에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고 풀어야 할 것 같습니다.


11 ~ 20번은 part 2에서 다뤄 보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