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Roman. [69422] · MS 2004 · 쪽지

2018-01-27 14:32:01
조회수 4,700

수시와 정시

게시글 주소: https://spica.orbi.kr/00015776134

  글쓰러 들어오는 사이트는 두 곳이다. 페이스북과 오르비.


  페북에는 나만 보기 위한 글을 쓰고,

오르비엔 읽히기 위한 글을 쓴다.


  들락날락하다보면 본의아니게 입시관련 글을 접하게 된다.

많은 이슈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수시로 인한 박탈감을 호소하는 글이다.


  '남자는 정시지.'


  내가 입시생 때 유행하던 문구였다. 깨작깨작 우리가 존경하지 못하는 선생들 말 받아써서 수업에 집중할 게 아니라 마이웨이로 수능에서 승부본다 이게 저변에 깔린다. 천재형 수사다. 학교에서 맨날 놀아제끼고 내신은 잘 안 나오지만 머리가 좋아 수능을 잘 봐 대학을 잘 가는 그런 스토리는, 남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캐릭터다.


  여기엔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 전제된다. 하나는 그 어떤 나락에 빠진 아이들도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할 수 있다는 것. 가정환경, 지능, 내신성적이 뭐건 간에 제로베이스에서 수능 몇 개 더맞히느냐로 일합을 겨룰 수 있다는 의미다.


  그게 흐려지는 건, 정상적인 사회가 아니다. 대학이 왜 수시 비중을 늘려갈까. 이유는 간단하다. '수시'가 '정시' 입학생보다 더 좋은 아웃풋을 내기 때문이다. 내신을 따기 위해선 실력이 필요하고 그 실력엔 학습능력 뿐 아니라 수업시간에 집중하는 능력, 선생님과의 좋은 관계, 선생님 말씀대로 답안을 현출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건 대학에서  마찬가지, 아니 더 심하다. 교수의 의견을 따르고  출석을 잘 하고 교수와 좋은 관계를 맺은 학생만이 A+를 거머쥘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교수의 의견을 호기롭게 까고 수석을 차지한 프로코피예프의 스토리는 한국에선 어불성설이다. "네까짓 게 감히?"라는 감정을 들게 하는 순간 평가게임에선 아웃이다.


  그렇게 학점을 잘 받으면, 좋은 곳에 갈 수 있다. 로스쿨이든, 공공기관이든, 의전이든. 또 체제에 잘 적응하는 성향은 한국 조직에선 아주 중요한 미덕이다. 


  내가 본 (내신은 안 좋은데 수능을 잘 쳤던 재수 이상의) 정시생들은 각양각색이었다. 대부분 대학학점이 좋지는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대신 사업을 하거나, 고시를 하거나 하나에 집중해 한우물을 파는 성향은 그 비중이 수시입학생들에 비해 많았다. 


  최근 수시에서 교수인 아빠의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을 스펙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보고, 이러니 수시가 더 잘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교수 정도 되는 사람이 자기 이름을 리스크로 저런 찌질한 일에 동참할 정도로, 자녀의 성공을 위해 헌신할 자세가 되어 있다면 그 집안 자식이 대학에서 좋은 아웃풋으로 남지 않는 게 되려 이상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수시생들이 무비판적 체제순응적이고 정시생들이 모험적이고 챌린징하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쓰는 글이 아니다. 정시만으로 뽑는 것도 한탕주의 횡행 및 재수 삼수 양산화의 도구로 전용될 수 있다. 그러니 균형이 중요한 거다. 균형이 깨지니까 예전 정시의 폐단을 막고자 도입됐던 수시가 점점 한 번 실패한 자는 허용되지 않는 그들의 리그로 전락하는 것이다. 일부 폐기물 탓에 나머지 성실한 수시생들까지 싸잡아 욕먹고, 편갈리는 것이 안타깝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급박하고불안한삼수새 · 766065 · 18/01/27 18:15 · MS 2017

    항상 잘읽고있어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실수로 신고 눌러버렸어요 ㅠㅠ 죄송합니다
    관리자님은 이거 보면 잘못신고들어간거라고 생각해주세요

  • Pessimus · 646247 · 19/12/23 23:17 · MS 2016 (수정됨)

    대학이 왜 수시 비중을 늘려갈까. 이유는 간단하다. '수시'가 '정시' 입학생보다 더 좋은 아웃풋을 내기 때문이다. 이 부분 근거 있는 얘기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