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의생 아이유 [799225]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19-12-20 22:50:20
조회수 27,505

26) 지구과학2 킬러 유형 간단 소개 (1)

게시글 주소: https://spica.orbi.kr/00026380400

* 개정 후 지2 기준으로 써 보려고 했으나, 새로 들어오는 내용이 있고 무엇보다 지1의 천체가 올라옴으로써 상당히 많은 부분이 개편되어 개정 후 기준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제가 지구과학 전공자도 아니고.. 그래서 개정 전 기준 지2의 킬러를 소개하되, 지1으로 내려가는 내용은 따로 안내를 해두었습니다. 혹시 제가 교육과정 이동 관련해서 잘못 쓴 것이 있거나 기출문제 번호를 잘못 쓴 경우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글이 길어 반으로 나누었습니다. (2)는 내일 올라갑니다.


2020학년도 6 9 수능 50 50 47

4, 7, 10월 교육청 모두 50


지2의 가장 큰 특징은 고정된 킬러가 없다는 것입니다. 모든 단원에 킬러의 소재가 들어 있고 언제든지 시험에 나올 수 있다는 말이죠. 그리고 킬러 유형 이외에도 낚시 or 자료 해석으로 킬러에 준하는 정답률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니 9월 이후에는 아래 유형들은 오히려 쉽게 느껴져야 하고, 지엽 암기 + ebs 자료 공부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지2 인강은 그냥 OZ 풀커리 타세요. 실모는 폴라리스, OZ, 박선


1. 지진파 근거리 주시곡선

지표 아래 지진파의 속도가 다른 여러 층이 있을 때 지진파가 어떻게 굴절되는지, 지표에서 주시곡선은 어떻게 그려지는지를 분석하는 문제입니다. Snell’s law는 알고 있는 게 좋습니다. 교수들이 교과외와 교과내를 줄타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구물리학 책에 있는 그림을 가져와서, 교과 내 개념으로 풀 수는 있게 문제를 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입사각과 굴절각의 관계, 주시곡선에서 기울기가 의미하는 것 등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보기 바랍니다.

(주시곡선에서 기울기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는 문제. 181116)

(이런 걸 출제해도 되는지 의문이 드는 200918)


2. 고지자기 분석

지1으로 내려갔습니다. 고지자기로 추정한 진북이 변하는 것을 보고 지괴(땅덩어리)의 회전 방향이나 이동 방향을 추적하는 문제입니다. 고지자기 복각/편각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으면 낚시 당하기 쉽습니다. 지괴의 회전 방향은 추정 진북 이동 방향의 반대, 지괴의 이동 방향(남북)은 각거리의 증감으로 구합니다. ‘각거리’를 지구본 구면상에서 구해야 하기 때문에 약간의 공간지각 능력이 필요합니다.

(평면에서 고지자기 분석. 181118)

(구면에서 고지자기 분석. 190920)


3. 판의 운동 계산

지1으로 내려갔습니다. 2020학년도에 처음 등장한 유형으로, 해령에서 1년에 판이 얼마나 생성되는지를 계산하고 변화량을 양쪽 판에 배분해서 해령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문제였습니다. 상대속도의 개념을 알고 있으면 좋습니다. 해령 양쪽의 확장 속도가 다른 경우,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등 발전할 가능성이 아직 많이 있는 문제입니다.

(200620)


4. 지질도 해석

지구과학2의 대표적인 킬러 문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비주얼부터 충격적입니다. 주향선 그려서 경사 방향 찾기, 지층 경사각 계산, 산등성이/골짜기 지형의 구분, 지층의 생성 순서, 습곡 단층 부정합 해석하기 까지 끝내면 기본은 다 한 겁니다. 이런 기본기를 바탕으로 기출문제의 그림에서 단면을 잘라 단면도를 그리는 공부를 할 텐데, 시험장에서 다 그리고 있을 시간이 없습니다. ㄱㄴㄷ에서 묻는 것만 따로 떼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특히 지층 생성순서의 경우, 등고선과 지층 경계선이 굽은 모양과 방향을 보고 바로 알 수 있어야 합니다(머릿속에서 단면 그리는 과정을 생략하고, case별로 분류해서 기억해야 합니다).

(일단 풀기 싫게 생김. 181117)

(역대 최고 난이도 지질도로 알려진 200919. 하지만 제가 말한 대로 ㄱㄴㄷ만 판단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5. 대기 단열변화, 푄 현상

단열변화 문제는 실험 유형의 문제로 나올 수도 있고 실제 상황 해석 문제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후자로 나온다면 실제로 계산을 할 것인가 or 그래프에 그려서 비교할 것인가를 빠르게 판단해서 문제 풀이에 들어가야 하는데, 둘 다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웬만하면 그래프로 푸는 것이 낫습니다. 또 수증기압, 수증기량, 절대습도, 상대습도 등 용어들의 정의를 엄밀하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푄 현상은 계산 문제로 출제되며, 어렵지는 않으나 기온, 이슬점 등 여러 물리량의 변화를 공식화해서 기억하는 것이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절대습도와 이슬점의 정의를 엄밀하게 알고 있는지를 물었던 180619)

(그래프로 풀지 않으면 상당한 계산을 견뎌야 하는 191109)

(간단한 푄 현상 문제. 201116)



아이유의 정보글


수험생활 전반

수험생활 하면서 느낀점 : https://orbi.kr/00026350479


국어

수능 국어와 리트의 관련성 : https://orbi.kr/00025920245

수능 문학 해결법 : https://orbi.kr/00026236531


수학(가)

공부법 : https://orbi.kr/00025839436

컨텐츠 : https://orbi.kr/00026003088


생1

컨텐츠 : https://orbi.kr/00025880575

0 XDK (+1,000)

  1.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