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2 몇가지 하고싶은말
칼럼은 아니고, 이번에 화2 수능을 보는 분들을 위한 내 생각이다.
내 생각이 정말 틀린 것 같으면 그냥 자기 생각을 따랐으면 좋겠다. 원래 남의 말 듣고 잘 안 되면 더 억울한 법이다. 나는 정보를 줄 뿐이고, 거기에 대해서 책임져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니까 과목 선택이든, 공부법이든 본인 소신대로 하는 게 여러모로 좋을 것 같다.
1. PV=nRT에서 파생되는 변수 간 관계는 일단 전부 외우자. 안 외워도 직관적으로 이해되고 바로바로 튀어나오는 고능아면 상관없다. 그치만 압력, 부피, 온도는 보일-샤를 법칙으로 익숙하더라도, 몰수, 분자량, 밀도는 좀 생소하고 비직관적인 면이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1/4배고 압력이 2배가 되었으면 부피는 몇 배일까? 이런 질문에는 답이 1/8배인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고 빨리 답을 구할 수 있지만, 밀도가 1/4배고 압력이 2배가 되었으면 분자량은 몇 배일까? 여기서 1/8배인 게 직관적으로 나오는 사람은 솔직히 많지 않을 것이다.
어떻게든 머리를 굴려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연결시켜 볼 수는 있겠지만, 내 머리로는 수능 때까지 그걸 해내지 못했다. 그래도 문제는 빨리 풀어야 했기에, 밀도는 분자량과 비례. 압력은 분자량과 반비례. 이런 걸 그냥 다 머릿속에 박아넣고 반복 학습을 통해 숙달시켰다. 자다가 누가 깨워서 “밀도 1/4배 압력 2배면 분자량은?” 하고 물어보면 “1/8배죠” 하고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연습했었다.
그냥 시험지에 PV=nRT PM=dRT 써놓고 보면 되는 것도 맞다. 그렇지만 수능 화학2는 타임어택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험이고, 1초라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2. 엔탈피 계산에서 일의 자릿수만 빼서 계산하는 기술은 상당히 도움이 된다. 요즘은 수치 대신 그냥 abc로 주고 식 쓰라고 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서너 자리 사칙연산은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
대학전쟁 출연자급이 아닌 이상 그걸 시험장에서 실수 없이 해내기는 힘들고, 시험장에서 힘들게 엔탈피 계산했는데 보기에 답이 없으면 멘탈 제대로 나간다.
뒷 자리만 모아서 빠르게 계산하는 건 속도와 정확성을 동시에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에, 충분히 연습해둔 다음 시험에서 써먹어 보도록 하자.
3. 제발 문제에서 제시하는 조건 똑바로 확인하자. 반응식에 등장하는 게 g인지 l인지 s인지(간혹 액체나 고체 나오는 문제에서는 정답률 나락간다), 용기 부피 몇 리터인지, 액체/고체 부피 무시하는지(고체 부피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도 출제된 적이 있다).. 등등 확인하는 절차를 꼭 거치자. 물론 시간 단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무리 시간을 단축해 봤자 문제 틀리면 다 의미 없다.
특히 내가 평소에 실수하지 않던 부분도, 시험장에서는 얼마든지 실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필자는 몰 농도 조건이 주어졌는데 몰수로 계산하는, 생전 해본 적 없던 실수를 수능 당일날 하는 바람에 수능 만점을 놓쳤다. 단순 실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결국은 내가 조건을 똑바로 보는 버릇을 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문제이다.
수능 시험장에서의 압박감은 사람의 머리를 이상하게 만든다. 열심히 공부해 놓고 아깝게 틀리는 일이 없도록, 실수할 가능성이 1%라도 있다면 미리 생각해 두고 이걸 방지하기 위해 일일이 확인하면서 풀어야 할지, 아니면 그냥 시간 단축을 더 신경쓸지 전략을 정해 두자. 이건 비단 화학2뿐만 아니라 수능 전 과목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4. 꼭 모든 걸 완벽하게 풀려고 하지 말자. 한계 반응물 안 보이면 그냥 귀류 때려 보고, 1/3몰 반응하면 평형 될 것 같은데? 싶으면 빠르게 계산해 보고, 반감기도 대충 이거 1분, 이거 2분이면 되려나? 하고 계산해 보자. 어려워 보이는 문제는 선지 대입해서 푸는 게 더 빠를 수도 있다. 완벽하게 논리적으로 풀어서 맞힌 사람과 대충 찍어맞힌 사람이 받는 점수는 어차피 동일하다. 빠르게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조건 그 방법을 써야 하고, 평소 공부하면서도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면서 본인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시험장에서 이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나는 어떻게 할지 고민해보자.
5. 화학2 20번은 믿찍1이다. 21수능부터 25수능까지, 수능 20번의 답은 늘 1번이었다. 만일 내가 20번을 도저히 풀 수 없는 상황이고, 다른 번호로 찍을 만한 근거(ex: 19번까지 답 5번이 1개야!)가 없다면, 그냥 1번으로 찍고 기도하자. 미적 28번 답이 수 년째 2번인 것도 그렇고, 아마 이건 출제진들도 알고는 있는데 정답률 높여 주려고 일부러 유지하는 건가 싶다. 맞히면 좋은 거고, 틀려도 딱히 손해 볼 건 없으니까 못 풀 것 같으면 1번으로 찍어 보도록 하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담배피지마 9
세금발사대가 돠는거야 나라가 아무라 담뱃값을 올려도 저는 국가의 개에요 선언하는 허접이 돠는거라고
-
수의대 순위 이게맞음? 18
왜 내가 알고있는 순위랑 네이버검색에 뜨는게 이렇게 다르지?ㅜㅜ 걍 작년...
-
실모 많이 풀었어서 행복했음
-
호구잡힌건가 나 나름 시급 6만원짜린데
-
수특 영어 강의 0
내신 때문에 수특 영어 하려고 하는데 혼자하긴 좀 힘들어요. 메가에는 수특 강의...
-
와 존나 춥네 1
귀떨어질뻔
-
사회탐구 중에서 한지,세지,사문중에 고민중인데 각각의 특장점을 잘 몰라서 어느게...
-
덱을 언제 다 외워 차라리 영단어를 외우지
-
ㄱㄱ
-
700A면 9
몇Q임? 3Q야?
-
후우우우웅 8
졸린데 자기는싫어
-
모의고사 만들어 볼까 생각 중...
-
안녕 10
-
잘자ㅇ ㅛ 자다가 현우진 선생님이 슈발저 ㅁ 이래서 강의 1강 듣고 자ㅇ ㅛ 낼도 파팅
-
맞팔구 2
.
-
주행거리 가능한 배터리나오면 내연차 살 이유 없어지나?
-
기출버리다가 n제,실모만 풀고 막판되서 기출 n제 실모 섞을예정 어차피 수논러라
-
야동 검색하다 운 썰 10
>12살의 나 >포르노를 알게 됨 >어른 포르노는 역겹다고 생각했음 >내 나이...
-
알려주세요
-
ㅇㅏ닌가 탈릅인가
-
112xx 사탐런(생윤 사문) 고전전 교과 이상 목표 대구에 남아서 러셀 가기...
-
수면제 한 입의 여유 15
역시 잘 시간대가 제일 좋다니까
-
얘들아 투표좀 19
너넨 큐브선생이 질문 해설 사진 논술형으로 찍어서 주는게 좋냐(빠름) 아니면...
-
지구는 일케 생겼는데 교과서와 평가원이 평평하다고 구라처서
-
내일부턴 조금 더 간절할수있기를
-
강기원 라이브 1
박종민만 들어봤었는데 강기원이 다들 좋다길래 궁금해서 강기원 현강으로 아니고...
-
낼 해야할거 0
수강신청 접시에 물떠놓고 빌기
-
제가 너기출이라는 책을 본 적이 없어서... 문제 양이나 난이도는 괜찮나요? 일부...
-
안키면 이모티콘도 안보이고 겁나느림 강제휴릅인가
-
국어 인강 선생님을 정해야 해서 평가원 모고를 푼 뒤 해설강의를 비교해볼려...
-
와 어케 입으로만 숨 쉬면서 잠을 자는거지 코에 머 안 넣길 잘 했다 여기에...
-
자전가서 원하는 과가 있으면 무조건 할 수 있음? 자전 붙어서 어디어디 가라,...
-
설의붙으면 해야될거 23
1. 오르비에 햄부기뿌리기 저번에 글 썼을때 댓달아준사람들한테 하나씩뿌림 2. 설뱃...
-
서울대도 쌉가능 아님? 킬러 문제도 존나 빨리 풀던데
-
군대2년 사회적으로 인정하든말든 같은 일을 해도 2살 많은게 ㅈ같다
-
라때는 강지가 국룰 였는데 방금 보고왔는데 조회수 1500만 이던데 이정도면 옆집...
-
700A면 얼마냐...? 산문제 해설하는데 거의 50분 걸림;; 29번이긴 했는데...
-
상하좌우로 오르비가 써있넹 ;;
-
인생은 역시 힘들구나
-
예비 0
지난 3년동안 항상 충원률 120프로 넘던 학과인데 올해 갑자기 충원률이...
-
그런 팀이 2025 담원입니다
-
머하는거지? 로스쿨은 쉽지않을거같은데 다른 진로가 딱히 생각이 안나네요
-
자취방이나 기숙사 지역 (전입 신고) or 본가 지역
-
반수 의지가 조금 줄어들까 공부 방해될거 같으면 그냥 친구 안 사귈려고 하는데
-
오늘의 야식.jpg 14
퀘사디아랑 타코 캬캬캬캬캬 맛있는 야식하세요
-
참전하겠습니다 ㄱㄱ
-
성적은 수능말아먹어서 44444떴습니다... 러셀 자연관, 강남대성 등등 여러개...
-
연금연구회 "국민연금 건강 너무 나빠…'더 받는' 개혁 안돼" 2
'재정안정' 중시 연구자들 "소득대체율 현행 유지해야"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5번 레게노네요
바로 스크랩 좋아요함
전 시험지에 1번 체크해놓고 풀기 시작했음
0. 웬만하면 하지 마라
이건팩트입니다
화2를 선택할 만한 전략적 이유가 없다면 안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
좋은글이네요. 개추
진짜 노력 많이 하셨단 게 느껴지는 글이네요
남들보다 부족한 재능을 노력으로 메우려고 했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5번이 20번 푼 사람들한테 통수친거라고 생각함
풀어서 맞힌 사람한텐 억울하긴 하겠지만.. 의외로 정답률은 상당히 낮더라고요. 실제로 1번으로 찍맞한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아요
미적 28 개정이후 계속 답 2번인가요 ?
22 23 24 25수능 계속 답 2번이었을 거예요
3번 4번은 화1에도 통용되는 이야기 같네요
모든 과목에 다 해당될 만한 이야기 같아요
그렇긴 한데 특히 상태는 안보고 문제 못푸는 애들 꼭 있더라고요 ㅋㅋㅋㅋ
PV=nRT 무적의 최강공식
진심이 느껴지는 글이네요
화2는 언제부터 시작하셨나요?
고2 여름쯤에 시작했어요
개추박고갑니당
6. 값을 그대로 사용하지 말자 단순비율로 처리한 후 나중에 보정시키면 그만
감사링뇨~~
아 22수능 20번 틀렸는데 그 전에 이거 봐서 믿찍1 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