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학년 수능 45번 채권 문제 질문(7645번)에 대한 답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91641
다음 해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① 선택지는 간단하게 나타내면 ‘액면금액=현재가치-이자액’이라는 내용이므로 제시문에서 액면금액과 현재가치, 이자액의 관계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 부분을 찾아 본다. 2문단 1문장을 보면 ‘현재가치= 이자액을 현재 시점에서 평가한 값 + 액면 금액을 현재 시점에서 평가한 값’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①은 단순히 ‘현재가치= 액면금액+이자액’으로 계산하고 있을 뿐 액면금액과 이자액을 현재 시점에서 평가하는 과정을 밟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제시문과 일치하지 않는 내용이다.
② ‘순수익= 합산된 이자액의 현재가치’이라는 내용이므로 순수익과 이자액의 현재가치 간의 관계에 대한 언급을 찾아 본다. 역시 2문단 1문장을 보면 ‘순수익= 현재가치(합산된 이자액의 현재가치 + 액면 금액의 현재가치)- 매입가격’으로 나와 있다.
따라서 ②가 제시문과 부합하려면 ‘액면금액의 현재가치=매입가격’이어야 한다. 하지만 ‘액면금액의 현재가치=매입가격’이라고 볼 근거는 제시문에서 찾기 힘들다. 제시문에 따르면 채권가격(매입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금리 이외에도 만기, 지급불능위험, 다른 자산시장의 상황 등이 있다. 반면 액면금액의 현재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금리만이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이렇게 ‘액면 금액의 현재가치’와 ‘매입가격’을 같다고 볼 근거가 없으므로 ②는 제시문으로부터 추론하기 힘들다.
③ ‘액면 이자율과 채권 가격은 반비례한다’는 내용이므로 액면 이자율과 채권 가격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부분을 찾아본다. 하지만 이 관계를 직접 언급하고 있는 부분은 없다. 이런 경우 이 관계를 추론하게 해 주는 근거가 되는 내용이라도 찾아 보아야 한다.
1문단 3문장을 보면 “이자액=액면 이자율×액면금액”으로 나와있다. 이로부터 a.'액면 이자율이 높을수록 이자액도 많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문단 1문장을 보면 ‘현재가치= 이자액을 현재 시점에서 평가한 값 + 액면 금액을 현재 시점에서 평가한 값’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b.‘이자액이 많을수록 채권의 현재가치가 높아진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자액이 많아질수록 이자액을 현재 시점에서 평가한 값도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a. b로부터 c ‘액면 이자율이 높을수록 현재가치도 높아진다’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런데 2문단 4문장의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현재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채권의 가격도 하락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 진다”에서 d. ‘채권의 현재가치가 높으면 채권가격도 높아진다’는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리고 c와 d로부터 ‘액면이자율이 높을수록 채권가격도 높아진다’를 이끌어 낼 수 있다. ③은 이와 상반되는 내용이다.
④ 지급 불능 위험과 순수익과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거나 함축하고 있는 부분을 찾아 본다. 4문단에 ‘지급 불능 위험이 커질수록 채권 가격은 낮게 형성된다’고 나와 있다. 그리고 2문단 1문장을 보면 ‘순수익= 채권의 현재가치 -채권매입가격’이라고 나와 있다. 이로부터 지급 불능 위험이 커질수록 채권 가격(=채권 매입 가격)은 낮아지고 채권가격이 낮아지면 채권의 현재가치에서 빼지는 값이 적어지기 때문에 순수익은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지급 불능 위험이 커질 때 순수익은 올라가는 관계에 있으므로 투자자 역시 이런 관계를 기대하고 투자를 할 것이다. 따라서 ④는 제시문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이다.
⑤ 지급 불능 위험과 액면 이자율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거나 함축하고 있는 부분을 찾아 본다. 4문단에서는 ‘지급불능 위험이 높으면 채권 가격은 낮게 형성된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로부터 ‘지급불능 위험이 낮으면 채권 가격은 높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⑤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채권가격이 높으면 액면이자율도 높다’가 전제가 되어야 하는데 이런 내용은 제시문에서 찾을 수 없다.
③에서 설명했듯이 제시문에는 ‘액면이자율이 높으면 채권가격도 높아진다’는 내용은 함축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은 그 역 역시 성립한다는 것을 함축하지 않는다. ‘사람이면 동물이다’는 맞는 말이지만 ‘동물이면 사람이다’는 그렇지 않는 것과 같다. 이렇게 ⑤는 제시문에 나와 있지 않은 내용을 전제해야만 하므로 제시문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내용이라고 보기 힘들다.
이상에서 답은 ④임을 알 수 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피크민갤러리 비갤 << 나 언젠간 한번쯤은 욕먹을까봐 보기만함..
-
몇몇개는 칼럼이 아니라 팁에 가까운 느낌이네.. 예전에는 정말 알찬 칼럼이 많았는데
-
(오르비를 하며)
-
걍 병먹금하면 되는데 무료질문/과외하면서 너무많이받다보니 노이로제걸림 더 확실해진건...
-
문장 한줄 한줄 마다 끈덕지게 반응할수 있음 그냥 탈분극 재분극 없이 한방에...
-
학교학교학교학교 0
제발제발제발제발
-
중학수학도 모르는 정말 “진짜 노베”ㅇ라 고등수학과정부터 시작해서 대략 6개월정도...
-
6모 언제? 0
6모가 미뤄지나요? 아니면 땡겨지나요?
-
반수안하기로 해서 양도해요 22에 합니당 쪽지주세요!
-
아아 준표형 0
??? : 우리 어떡해요 레드준표 : 내가 보수를 통합 하겠다
-
진짜 레전드였구나 그냥 그 형 이야기 전해들을 때마다 멋있어 보임 예전에 이 장도는...
-
피곤할때 1시간 자고 공부하는것보다 졸음참고 하면서 공부하는게 더 뿌듯하게 느껴짐...
-
걍 사랑한다
-
그러니 여러분은 오르비에서 디씨자아를 너무 많이 꺼내지 말아주세요....
-
https://orbi.kr/00072708260 좋아요도 댓글도 많잖아 이러면 나 속상해
-
92세 김말숙 초반까지 보고 껐다
-
간단한 이벤트 진행하고 있으니 참여하고 무료로 생명 교재 받아가세요! (이미 맞추신...
-
레ㅈ..... ..기만하지마라 ㅇㅈㄹ했음
-
왜 사는지를 ㄹㅇ 모르겠음
-
근데정말 1년에 한두번정도만 그래야됨 아니면 어디서 그런말 배웠냐고 추궁해요
-
방학때 잠깐 다닐려는데 시스템이 어떻게 되는거임뇨?
-
부산사는데 항상 의문임 13
이게 왜 부산에 있냐
-
안 먹고 남겼는데 요즘 입맛이 바뀌었는지 먹게 됨
-
미적 과탐 실수밖에 없어서 반응이 시원찮음 생윤러들아 같이 울어줘
-
"가능할까요?" 시즌4 13
?
-
국어 일타강사분 현강을 듣는데(강민철 아님) 잡담이 너무 많아요. 체감시간으론...
-
오늘 30분정도 상담했는데 쓸데없는 비유만 20분을 하고 뭐 물어봐도 비유적으로...
-
미친 개똥줄 한번 타보면 탐구 공부할때 눈빛부터 달라짐 ㅋㅋ
-
의대갈거 아니면 0
의대갈거 아니면 확통사탐화작이 맞나요? 고대목표 문과가도됨 지금 시발점 미적상 밖에...
-
아니 좀 그럴 수 있는거 아님?
-
계속 냄새 솔솔 올라와서 좆같음
-
민주국가의 국민 각자는 서로를 공동체의 대등한 동료로 존중하고 자신의 의견이 옳다고...
-
작가가 되고싶다 10
하지만 의대는 꼭 가야겠더라 오랜 생강이다...
-
문과 확통하는데 나머지 다 2 이상 띄운다는 가정하에 수학을 몇등급 띄워야 인서울 가능할까요?
-
실은 내가 근 11~12년 전에 대강 예상은 하고 잇엇음. 그 때도 취업 ㅈㄴ 안...
-
치킨피자파티 2
1/100
-
훈훈하다는애들보면 얼굴개나주고 그냥 머리 펌하고 스타일만갖추면 훈훈하다하네
-
야이 기요미야 3
너말이야 너~~
-
집회 미친놈아 3
나 약속 가야하는데 얘네때메 버스가 모 ㅅ가고 있음 ㅅㅂ
-
잠들었어 0
너무 속상하다 . . 매일매일이 왜케 맘에 안 드는지..
-
예상댓글 : 글씨 꼬라지 ㅋㅋㅋㅋㅋㅋ
-
투데이: 8
아니 제 프사 그만 좀
-
메인 제조기 0
나야나 흐흐ㅡ
-
오류라고 하기엔 좀 그렇고 그냥 질문인데 2번 보기에 단모음 ‘ㅣ’가 반모음...
-
난 진짜 병신이네 13
-
맞팔구 2
ㄱ
-
대학생들 와봐요 4
친구들 스토리 보니까 무슨 이름적혀져있고 목에 하나씩 걸고 활동하던데 뭐하는건가요
-
생윤동사꾼은 중간 고사 기간에 지속적인 오르비 활동을 하며 부모님의 기대를 갉아먹고...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